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북 익산에 이어 김제시까지 ‘학생 100원 버스’ 정책

by jeongbo012 2025. 10. 5.

전북 익산에 이어 김제시까지 ‘학생 100원 버스’ 정책을 본격 시행합니다.
교육비, 생활비가 치솟는 지금, 자녀 교통비를 월 1만 원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면?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입니다.
10월부터 달라지는 김제시 버스요금, 부모라면 꼭 알아두세요!

 

 

김제시도 100원 버스 전면 시행

 

2025년 10월 1일부터 전북 김제시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내버스 요금을 단 100원으로 낮추는 정책을 시행합니다.
이로써 김제시는 전북 익산에 이어 두 번째로 100원 버스 제도를 도입하는 도시가 되었으며, 보다 확장된 교육복지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시행되나요?

 

학생들은 김제시 관내 모든 시내버스를 탑승할 때 단 100원만 지불하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교통카드를 사용할 경우 추가 50원의 할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실질적 부담은 더 줄어듭니다.
이 제도는 김제시가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되며 **전액 국비 지원**으로 추진된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기존 김제시 교통정책과의 차이점

 

김제시는 이미 2018년부터 일반 시민 1,000원, 학생 500원의 단일요금제를 시행해 왔습니다.
또한 올해 1월부터는 **‘K-패스’ 제도를 통해 대중교통비의 20~53%를 환급**하는 등 교통복지 정책에 앞장서 왔습니다.
이번 100원 버스 정책은 이 흐름의 정점을 찍는 혁신적 시도입니다.



익산과 김제, 어떻게 다를까?

 

익산시는 지난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100원 버스를 도입한 후, 올해 7월 청소년까지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하지만 **익산은 환급형**, 김제는 **즉시 할인형** 운영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익산은 전용 교통카드 사용 후 다음 달 차액을 환급하는 구조, 반면 김제는 **바로 100원 결제**가 가능합니다.



표로 정리하는 비교 정보

 

항목 김제시 익산시
시행 시점 2025년 10월 1일 어린이: 2024년 도입 / 청소년: 2025년 7월 확대
대상 초·중·고 전체 학생 어린이(6~12세), 청소년(13~18세)
요금 방식 즉시 100원 결제 (카드시 추가 할인) 정상요금 결제 후 익월 차액 환급
재원 전액 국비 (교육특구 지정) 지방비 기반
추가 혜택 카드 사용 시 50원 추가 할인 정액 환급



왜 100원 버스가 중요한가요?

 

학생들의 이동권 보장과 교육 접근성 확대는 물론, **가계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입니다.
1일 2회 탑승 기준 월 6,000원이라는 부담 없는 금액으로, 등하교를 포함한 이동이 자유로워집니다.
나아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탄소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성주 김제시장의 발언

 

“교통약자인 학생과 고령자의 이동권을 강화하기 위해 다방면의 교통 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시민이 안전하고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 정성주 김제시장



Q&A



Q1. 카드 없이 현금으로도 100원이 적용되나요?

A. 기본 요금은 100원이지만, **교통카드 사용 시 추가 할인**이 적용됩니다. 현금만 사용할 경우 100원 이상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Q2. 김제시에 거주하지 않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 현재는 김제시 관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됩니다. 타지역 학생은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Q3. 버스노선 제한은 없나요?

A. 김제시 **모든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됩니다. 단, 광역 또는 시외 노선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Q4. 고등학생도 포함되나요?

A. 네.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 학령 대상**입니다.

 

Q5. 교통카드 할인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A.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100원 요금에 **추가 50원**이 할인되어 총 50원만 지불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제안

 

김제시의 100원 버스 정책은 교통 복지와 교육 환경 개선을 동시에 실현하는 모범 사례입니다.
익산과의 비교를 통해 각 도시의 특성과 정책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부모님이라면 지금 자녀의 교통카드를 점검해보세요. 도시가 달라져도 아이들의 안전한 발걸음은 지켜져야 하니까요.